유기체로 증식하는 선과 색채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이수경의 회화는 선명하고 쾌적한 색채들이 평면적으로 단호하게 마감되어 펼쳐져 있고 그 위로 반듯하고 유기적인 선들이 깔끔하게 이어지면서 모종의 윤곽을 형성하며 부유한다. 그 형태는 식물이나 자연의 어느 생명체를 부단히 암시하는 도상들이자 순수하게 색채와 선을 머금고 그것으로 자족하는 유기체처럼 자리한다. 색과 선으로만 이루어진 이 회화적 존재는 제한된 영역 안에서 무수한 변이를 발생시키며 번식한다. 어떠한 외부적 조건이나 특정 문맥에 견인되지 않고, 어떠한 것도 참조하지 않으면서 그 스스로 충만한 삶을 이어가는 이 흔적은 세포나 원자처럼 혹은 지상의 모든 생명체의 속성과 원리를 분유하며 이동한다. 마치 픽셀이미지나 디지털 방식의 운용체계를 연상시키듯 회화의 최소단위들이 연쇄적으로 분열하고 집합하기를 거듭하는 형국의 풍경이기도 하다.
납작한 표면에 물감/색채와 선으로만 이루어진 이 그림은 전형적인 추상회화다. 화면의 평면성을 인지시키는 단단하게 밀착되어 칠해진 단색의 배경은 색 차제로 모든 것을 포용하듯 도포되어 있다. 이 모노크롬한 회화는 색채만으로 충만한 상태에서 빛을 발한다. 색채가 스스로 자신의 몸을 매끈하게 물질화하고 충분히 시각적이고 장식적인 어느 상태를 깨물고 있다. 그렇게 매혹적인 단색의 피부 위로 또 다른 색채들이 작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것들을 꾸미는, 일정한 굵기를 반듯하게 거느린 선들이 여러 율동, 궤적을 만들면서 춤을 춘다. 선들은 순수한 조형의 기본 여러 단위로 기능하면서도 그 무엇인가가 되고자 욕망하는 기운으로 꿈틀대는 것이다. 구체적인 형상을 지니지 못한 것들이지만 율동과 흐름을 거느린 선과 색면 덩어리들은 광활한 색채의 대지 이곳저곳에서 산발적으로 피어나거나 돌처럼 박혀있다. 단색의 색채가 물든 화면에 일정한 면적을 지닌 형상들이 출현하고 그 덩어리의 외부와 내부는 선들에 의해 윤곽 지어져 있거나 촘촘히 내부가 채워져 있는데 어느 것들은 여러 선들이 교차하면서 미묘한 공간감을 자아낸다. 색채와 색채간의 길항이 또한 화면을 부단한 흐름으로, 또 다른 형국으로 몰고 간다.
화면 안에 자리한 일정한 굵기를 지닌 선은 붓질의 궤적을 품고 있으면서 방향성을 지시하는 동시에 윤곽과 내부가 균질하게 도포되어 있어 선이자 색면의 역할을 한다. 붓질 스스로가 선과 면, 형태와 내부를 동시에 아우르면서 지나간다. 또한 바탕 면과 그 위에 올려진 선/그려진 부분은 내·외부의 구분이 없이 혼재되어 상호 겹쳐지고 얽혀있다. 따라서 전경과 후경, 그려진 부분과 배경의 차이와 위계는 무너진다. 색채로 물든 배경 위로 유영하는 선, 그물망, 네트 같기도 한 것들은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그리기, 선 긋기, 칠하기의 욕망을 막막하게 펼쳐 보인다. 특정 형태를 지니지 못하고 다만 선으로만 자족하고 색채로만 빛을 내는 형국을 연출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수경의 이 그림은 거의 생득적이고 본능적인 차원에서 작동하는 그림으로 다가온다. 그래서인지 작가는 자신의 작품 제목을 ‘테라 인코그니타(Terra Incognita)’라고 기명했었다. 이 제목은 현재까지도 유효해보인다, 테라 인코그니타란 아직 개척되지 않은 미지의 땅, 아무도 밟지 않은 땅을 뜻하는 라틴어라고 한다. 그러니까 작가는 자신의 그림 그리기, 그러니까 백지상태의 캔버스 위에 붓질의 흔적을 남기는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회화적 행위를 다름아니라 자신만의 테라 인코그니타를 찾아간다는 것과 동일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모든 그림은 그것이 구상이듯 추상이든 무의 공간에서 다소 막막하게 출발한다. 작가들은 저마다 자기 앞에 자리한 그 공포 같은 화면을 무엇으로 채워나갈지 고민하게 되고 결국 그 공간을 힘겹게 채워나가면서 무엇인가를 표현한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것인지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결과를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그저 밀고 나가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그림 그리는 일은 삶과도 같다. 내 앞에 펼쳐진 우발적이고 우연적인 것들을 순간순간 겪어나가면서 이를 다만 필연적으로 끌어안고 살아나가는 것이 삶이듯이 그림 역시 매 순간, 순간 우연에 기대어 밀고 나가는 수밖에 없어 보인다. 색을 칠하고 덩어리를 만들고 선을 그어가면서 자신의 회화를 조성한다. 경작해간다.
추상회화란 주어진 화면에서 외부 세계를 연상시키는 구체적인 이미지가 사상된 것을 말한다. 아울러 그것은 주어진 회화의 존재론적 조건만을 탐구하기도 한다. 이른바 모더니즘 회화가 그것일 것이다. 현대회화는 캔버스와 그것이 묘사하는 저 바깥 세계와의 대응으로부터 캔버스와 그것을 보는 관람자 사이의 대응으로 이동했다. 그에 따라 오직 색채, 붓질, 선의 결합만으로 미술작품의 정서적 내용, 즉 미적 감동을 확립하고 전달하고자 했다.
이수경의 작품 역시 회화의 물질적 요소들을 자율적으로 구사하여, 자연의 모방이 아니라 순수한 미적 구성으로 회화를 만들어내는 모더니즘의 이상을 연상시키는 편이다. 상당히 깔끔하고 명징하게 칠해진 원색의 색채들로 마감된 표면은 그것 자체로 강한 장식성을 내뿜으며 도포되어 있다. 매끈하고 밝고 깨끗한 색채의 밀도와 강도가 상당히 감각적인 피부를 만들어내고 있고 그것이 모종의 화면을 펼쳐 보인다. 물론 이 표면은 결코 단일하지 않다. 몇 개의 색층이 겹쳐있고 일정한 두께를 지닌 색면, 선의 결이 공간감을 자아내는 편이며 미묘한 촉각성도 밀어 올려주고 있다. 그러니까 이수경은 캔버스의 표면이 지닌 평면성을 강하게 인식시키지만, 한편으로는 이 안에 다층적인 공간감을 밀어 넣기도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모노크롬한 화면은 색다른 지경으로 이동한다. 표면에 그려진 색/선과 배경의 색채들이 뒤섞여 혼재하면서 이루어지는 몇 겹의 공간감이 그렇고 색띠, 색선이 지닌 저부조의 요철효과가 자연스레 만들어내는 촉각성이 두드러지는 화면은 모더니즘 회화가 보여주는 평면성 논리의 틀 안에서 이를 교묘히 흔드는 방식이기도 하다. 주지하다시피 회화의 평면성에는 두 차원이 있다. 화면의 평면성과 표면의 평면성이 그것이다. 표면은 주어지는 재료의 물리적인 면을 말하며 화면은 화가가 그런 표면 위에 그려서 구성한 면을 지칭한다. 그리고 회화의 평면성은 화면의 구성적 평면성과 표면의 물리적 평면성, 두 층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개의 평면이 화가가 다루는 평면이다.
이수경은 화면 전체에 분포된 균질한 색채, 평면성을 강조하며 칠해진 색면과 그 위로 일정한 굵기를 지닌 유기적인 선의 단호하고 규칙적인 배열을 만들어 보인다. 회화와 자동 결부되던 지시 대상과의 유사성을 파괴하고 회화의 순수한 요소(색채와 선)를 부각 시켜, 지시 대상 없이 조형 요소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바탕으로 의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적극 열어 나가고자 했던 추상회화의 전형성을 연상시키는 그림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전적으로 추상의 논리를 방증하는 차원에 머무는 것은 아닌 듯 하다. 나로서는 이수경의 그림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이 바로 선이다. 통상 선은 드로잉의 제1요소로서, 대상의 윤곽선을 묘사하며 대상의 형상을 드러내는 것이 바로 선의 전통적인 기능이었다. 그러나 이수경의 선은 특정 형상을 그려내는 드로잉의 목표를 좌절시키며 추상에 이바지한다. 그리고 이 선은 일종의 빛으로 약동하는 시각적 환경 또한 창출하는데, 이는 예전에는 색이 맡았던 역할이다. 그 선은 순수하게 추상적인 선이지만 동시에 작가의 신체와 감정의 지표적 기능을 한다. 몸의 활력이 감지되는, 진동성이 느껴지는 선이다. 맑고 순수한 색채의 바다 위에 단호한 선들이 함축적인 표정을 짓고 응고되어 있다. 그 선은 작가의 신체가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힘에 의해 밀고 나간 여정이자 모든 감각과 사연을 오로지 선 자체로만 제한시켜 모종의 덩어리로 응축시켜 놓은 것이다. 활달하고 감각적이며 미끌거리듯 유연하게 지나가는 선은 상당히 ‘그래픽’하면서도 격렬한 감정과 상념을 동반하며 도저히 재현될 수 없고 특정한 형상을 지닐 수 없는 것에 몸을 만들어 주면서 막막한 공간에 부양되어 있다. 실타래 같고 촘촘한 네트 같은 이 선은 마음과 정신의 어떤 상황, 사태를 절박하게 그러나 품위 있게 기술하고 있는 상징적 언어로서 다가온다. 주어진 사각형의 화면 안에서 다양하고 이질적인 색채덩어리와 그 안과 바깥을 교란하고 겹쳐지는 예민한 선들의 구성을 이루어진 이수경의 그림은 평면 회화가 껴안고 있는 요소들을 동원해 만들어낼 수 있는 추상의 여러 표정, 상황을 생성적으로 다채롭게 펼쳐 보이고 있다.
Lines and Colors that Proliferate in the Form of Organisms
Park Yong Taek (professor of Gyeonggi University, art critic)
Lee Soo Kyoung's painting, resolutely finished, unfolds with vivid and pleasant colors. Decent and organic lines on top of the background color are neat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ming floating certain outlines. Their forms are images alluding to plants or other living things in nature and are positioned like organisms that seem to be self-sufficient with pure colors. These pictorial beings, composed only of colors and lines, propagate themselves by producing a myriad of variations in a limited space. They are not backed by any external condition or specific context, but lead a self-fulfilled life on their own without referencing something. Their traces move like cells or atoms, sharing the properties and principles of all living things on earth. They also illustrate a scene in which the smallest units of a painting are repeatedly divided and gathered, which reminds us of pixel images made by the digital operation system.
Lee’s painting, only made up of paints(colors) and lines, is a typical abstract painting. The flat background of her work is densely colored in monochrome and embraces everything with its own color. The monochromatic background itself is a key element highlighting the work as the monochromatic color itself is enough to light up the painting. The color materializes its own painting smoothly and presents a state that is sufficiently visual and decorative. On top of the fascinating monochromatic surface, other colors form small spaces, and the small spaces are decorated with lines with the same thickness that dance to various rhythms and trajectories. In Lee’s work, lines function as a basic unit of pure plasticity, and also vibrate with desires to become something. Although they do not have specific shapes, the lines and color fields, full of rhythms and flows, bloom here and there in the vast land of color or are embedded like stones –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se images, occupying an area of the monochromatic painting, are outlined by lines and densely filled with colors. The images evoke a subtle sense of space. And the antagonism between colors constantly drives the artwork into another realm.
The lines with a certain thickness in the work hold the trajectory of brush strokes and appear to have a direction. They also play the role of color fields as the shapes outlined with the lines are uniformly painted. Lee’s brushstrokes create lines and color fields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and the lines/colored areas on top of it are blended and overlapped and intertwined without a distinc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us, the difference and hierarchy between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and between the painted area and the background fell apart. The lines and their nets swimming in the monochromatic background exemplify the most basic and pure desires of humans who are eager to draw lines and paint something. In the case of Lee’s work, they fall short of specific shapes, but are just satisfied with lines, appealing only with colors. In this sense, Lee's painting is considered an art that is appreciated on an innate and instinctive dimension. Perhaps this is why the artist named her work ‘Terra Incognita’. And the title seems to be valid until today, Terra Incognita is a Latin word meaning an unexplored, unknown, and untrodden land. In other words, Lee identifies her painting (the primitive and instinctive act that leaves traces of her brushstrokes on a blank canvas) with the search for her own terra incognita. In fact, all painters, whether they are a figurative artist or an abstract artist, set out towards the space of nothingness, not knowing what to do. Every artist ponders over with what they would fill the intimidating canvas, and eventually expresses something, struggling to fill the space. Thus,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what “it” is. They just push forwards in the state where they cannot predict the outcome. In this respect, it seems that making a painting is like living a life. Just as living a life is to go through the accidental and coincidental matters that take place in front of us, inevitably embracing them, making a painting is also to push it forward, relying on coincidences. Lee is building up her painting style by composing the structure of a work, painting the background, and drawing lines. She is cultivating her art world.
Abstract painting refers to a painting in which concrete images reminiscent of the outside world is forsaken. It explores only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painting. The so-called modernist paintings would do so. Modernist painting has moved from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canvas and the world they depict to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canvas and the viewer viewing it. Accordingly, only through a combination of colors, brushstrokes, and lines, it has tried to establish and deliver emotional aspects of art creation (that is, aesthetic impression).
Lee's work tends to remind us of the ideal of modernism, which makes use of elements of painting freely for a pure aesthetic composition rather than representing nature. The surface of her work, finished with fairly neat and clear primary colors, exudes a strong decorativeness. The density and intensity of her sleek, bright and clean colors contribute to the fairly sensuous surface, and it rolls out a certain picture in front of us. Of course, this surface is not composed of a single layer, but is overlapped with several layers of colors. The patterns of color fields and the lines with a certain thickness tend to arouse a sense of space, conveying a subtle sense of texture. In other words, Lee’s work highlights its flatness, but at the same time, infuses a multi-layered sense of space into it. As a result, the monochrome work is moved to a different realm. The multi-layered space of the surface, created by a mix of lines and colors, illustrates it. And the surface, featuring a tactility formed by the concave-convex effect of the low relief of colored lines, demonstrates the way of cleverly shak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flatness within the logic of the flatness of modernist painting. As is well known, there are two aspects in the flatness of a painting: the flatness of the surface and the flatness of the picture. Here, the surface refers to the physical side of a canvas, and the picture refers to the plane on which a painter has painted. On the other hand, the flatness of a painting consists of two layers: the physical flatness of the surface and the compositional flatness of the picture. A painter deals with these two layers.
Lee makes a painting featuring a homogenous color on the flat plane and a firm and regular arrangement of organic lines with a certain thickness. She rejects to depict a subject as it is, which is automatically associated with the purpose of a painting, but instead stands out pure elements of a painting (such as colors and lines), trying to open the possibility that allows these pure elements to be meaningfully involved with each other. To put it shortly, Lee’s work epitomizes abstract painting. But it does not seem to be at the level of proving the logic of abstraction. What draws my attention the most in Lee's paintings is lines. In general, a line is the first element of drawing and its traditional function is to depict the outline of an object to reveal its shape. But Lee's lines do not follow the general purpose of drawing (disclosing the outline of an object), but contribute to abstraction. The lines also create a visual atmosphere that vibrates as a kind of light, which is the role that colors took on previously. They are purely abstract ones, but at the same time serve as an indicator of her body and emotions. Viewers can sense the vitality of the human body from Lee’s lines and can feel their vibrancy. On the sea of clear and pure colors, resolute lines are solidified in an implicit expression. The lines are a journey that Lee made with the spontaneous and improvised power of her body. She condensed all senses and stories only into lines as a kind of capsule. The lively, sensuous, and flexible lines are quite 'graphic', and convey intense emotions and thoughts. Lee embodied feelings that could not be reproduced or have a form, making them floating in a boundless space. These lines, looking like a skein of thread or a dense net, are viewed as a symbolic language that portrays a certain situation of the mind and the spirit desperately yet elegantly. Lee's painting, consisting of disparate colors and sensitive lines that are overlapped in a square plane, presents various expressions and situations of abstraction that elements of a plane painting can create.